책을 읽고나서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종교편

경돈 2015. 6. 7. 18:29
 

●종교

성서 구약(옛날의 약속); 아담~모세

신약(새 약속): 예수

  유대교-- 구약을 절대시 하고 신약은 인정하지 않음

  그리스도교--신약을 절대시 하고 구약도 믿는다: 로마카톨릭(천주교)

                     프로테스탄  트(개신교)  동방 정교회

  이슬람교--구약을 절대시 하고 신약을 절대시 하지는 않는다

  유대교: 유일신 야훼를 믿고 메시아는 아직 오지 않았다고 판단

           유대교 성경“타나크”를 중시한다(기독교의 구약 성서)

           타나크(구약) 토다(모세오경)--창세기, 출애급기, 대위기,민수기, 신명기

                             네비임-- 예언서

                             케투팀-- 성문서

         창세기- 아담에서 요셉까지 이야기

         야훼 첫째날   빛을 만들고 낮과 밤을 정함

                둘째날   하늘을 만듬

                셋째날   바다와 땅을 만들고 식물이 심어지게 함

                넷째날   해와 달 별이 탄생

                다섯째날 바다의 생물과 하늘의 새들이 만들어짐

                여섯째날 땅의 짐승들과 사람을 만듦

                일 번째날 안식을 취함

       노아 홍수기간 40일 물 빠지는데 150일 물이 빠지고 현재의 터기 아라낫

             산에   방주가 정박

       바벨탑 홍수이후 노아의 후손들이 바빌로니아에 정착

       야훼의 심판(홍수)를 피하기 위해 높은 탑을 세움

아브라함 구약성서의 주인공이자 3대 종교의 공통 조상. 원래 이름은 아브람

        (존경받는 아버지라는 뜻) 이 후 아브라함(여러민족의 아버지)로 개명.

       아내(사라)가 아이를 낳지못해 86세때 여종 하갈을 첩으로 들임. 하갈을

       이스마엘은 낳았다. 100세때 본처 사라가 이삭을 낳았다.

       이스마엘은 이슬람의 직계조상이 되고 이삭은 유대인의 직계조상이 된다.

       하느님이 아브라함의 미음을 시험하기 위해 이삭을 제물로 바치라 하자

       정말 이삭을 죽일려고하는데 믿음을 확인 하고는 이삭 대신 염소를 제물로

       바치게 함

이슬람에서는 제물로 바치려한 아이가 이삭이 아니고 이스마엘 이었다고 함

                       아브라함

        이스마엘                       이삭

       첩에서 난 장남                본처에서 난 차남

                                      에서        야곱(에서로부터 장자의 권리를 양도 받음)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으로 개명(신과

                                                               겨루다   라는 뜻)

                                                   이스라엘 민족의 명칭이 됨

                                              이 후 12명의 아들을 둠 그중 요셉을 가장 사랑함.

                                              야곱과 요셉은 이집트에 정착 함.

                                              이상이 창세기 내용

출 애급기     이집트에서 노예가 되어있는 이스라엘 민족 이야기로 시작

     모세 (십계 영화 내용과 같다고 보면 됨)

 그리스도교

구약과 신약을 근간으로 하고 유일신 야훼, 메시아로서 예수를 믿는 종교.

     신약     복음서: 마태오, 마르코, 루카, 요한(마태, 마가, 누가, 요한: 개신교)

                사도행전

                서간서

                예언서

예수 그리스도

   동정녀 마리아가 천사 가브리엘로부터 수태 고지(예수 회임)를 받는다.

   마리아는 요셉과 결혼(야곱의 아들 요셉이 아님)후 베들레헴으로 호적등록 차

   여행을 떠났다가 마구간에서 예수를 낳는다.

이슬람

  무슬림: 남성 이슬람 교도. 무슬리마: 여성 이슬람 교도.

  하느님을 유일신으로 믿고 무함마드(마호멧)를 하느님의 사도로 인정.

  알라 신: 유일신 이라는 뜻.

  코란: 무함마드가 알라의 계시를 받아 작정한 경전--이슬람 교리의 핵심

          (코란은 읽어야 하는 것 이라는 뜻이 있다)

 무함마드

   6세기 말(570년) 사우디의 메카에서 출생. 아브라함의 아들인 이스마엘의 자손

  으로 알려짐 610년부터 632년 까지 알라의 계시를 받는다.

   622년 70명의 사람을 이끌고 메카를 탈출 메디나에 도착(622년 9월 20일)

  아널울 하지라고 부르고 이슬람 달력의 원년으로 함.

정리

 유대교: 구약이후의 인물인 예수 그리스도, 예언자 무함마드를 이정 안함.

 그리스도교: 예수 그리스도만 인정

 이슬람교: 예수를 한명의 예언자로 규정하고 마지막 예언자로 무함마드를 가장

                중요시 함.

힌두교

  인도의 종교로 창시자도 없고 특별한 교조나 체계를 가지고 있지도 않다.

  과하다 싶을 정도로 많은 신이 등장한다.

  그러나 가장 근원적인 신은 셋이다 즉 브라흐마(창조) 비슈누(유지) 시바(파괴)다.

브라흐마

  우주를 탄생시키는 역할. 머리가 4개로 각각 네 방향을 보고 있고 팔도 4개며

  다리는 2개다.

비슈누

  계급이 높고 부유한 사람이 주로 믿는다.

  4개의 팔에는 방망이, 연꽃, 소라고동, 원반을 들고 있다.

  비슈누는 화신을 의미하는 “아바타라”를 주기적으로 지상에 내려 보낸다.

  현제까지 9가지 아바타라가 내려옴. 9번째 아바타라가 부처다.

시바

  파괴의 신이지만 파괴된 세계의 재건을 담당하기도 한다.

  정중앙에 제3의 눈이 있어 모든 것을 불 테울 수 있다.

  뻗친 머리에서 갠지스강이 흘러 나온다. 금욕과 고행의 상징이기도 하다.

불교

   부처가 깨달은 진리 3가지

    1. 모든 것이 고통스럽다. 2. 모든 것이 덧 없다. 3. 모든 것이 실체가 없다.

        고정적이고 영원한 실체는 없다. 이를 無我라 하고 이를 대승불교에서는 空

        이라 표현된다.

연기(緣起): 모든 사물이나 개인의 성품등 모든 것이 과거로부터 수 많은 원인과

                 결과가 연결되어 지금의 모습으로 잠시 놓이게 된 것.

고집멸도(苦集滅道)의 4단계(고집멸도=四聖제)

   1. 고통은 직시하는 단계

   2. 고통의 원인을 이해 하는 단계- 고통이 발생하는 것은 집착하기 때문

   3. 집착을 제거하는 단계- 모든 집착과 번뇌, 욕망을 멸하면 고통의 원인이

          사라진다. 따라서 고통도 사라지며 해탈에 이르게 된다.

   4. 집착을 제거하기 위한 수행을 실천하는 단계- 8정도(8가지 수행 방법)

  부처: 깨달은 사람을 의미하는 일반명사

티벳 불교

  불교 대승불교: 대중의 해탈을 고려-- 동북아로 전파

  소승불교: 개인의 깨달음을 강조-- 동남아로 전파

  금 강 승: 밀교적 형태를 가짐-- 티벳으로 전파

 달라이 라마

    티벳의 정치적 왕인 동시에 종교적 최고 지도자

       달라이- 큰 바다를 뜻 함.   라마- 스승을 뜻 하는 몽골어

현재 14대 달라이 라마에 이르기 까지 한명의 존재가 윤회를 반복한다고 믿음.

정리

A  절대적 유일신교: 구약--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

B  상대적 다신교: 힌두교, 불교, 티벳 불교, 베다

C  회의주의 종교: Χ

베다: 지식, 지혜를 뜻하는 말

신화, 종교, 철학, 제의, 생활 관련된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베다> 삼히타

            브라마다

            아라냐카

            우파니샤드: 결론   부분 우주; 브라흐만

                                               자아; 아트만

2015.06.07 블로그에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