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대 세조실록
제7대 세조(수양대군: 세종의 2남 1417~1468)
재위기간: 1455년 윤 6~1468년 9월 13년 3개월)
부인 2 자녀 4남1녀
정희왕후 윤씨(2남1녀)
의경세자(덕종-세조 즉위 중 사망: 18세 때 세자 책봉 2년 뒤 사망)
해양대군-제8대 예종
외 의숙공주
근빈 박씨(2남)
늦게 왕위에 올라 후궁을 많이 거느리지 않았음.
수양의 좌장 권람(1416년~1465년)
수양의 장량 한명회(1415년~1487년) 살생부 작성
세조의 위징 신숙주(1417년~1475년)
계유정란으로 왕이 된 세조는 정란공신을 최측근에 두고 정치.
왕권을 위해 무단 강권 정치를 함.
제8대 예종실록
제8대 예종(세조의 차남 1450년~1469년)
재위기간: 1468년 9월~1469년 11월 1년 2개월)
부인 2 자녀 2남 1녀
장순왕후 한씨(한명회의 딸-17세에 요절)
인성대군
안순왕후 한씨(우의정 한백륜의 딸)-1남1녀
예종이 20세에 일찍 죽었기에 아들이 모두 어려 왕위에 오르지 못한다.
예종의 어머니(세조의 비 정희왕후)에 의해 그의 장남 덕종의 둘째 아들이 왕위에 오른다(정희왕후의 손자). 그리고 정희왕후가 수렴청정 한다.
예종 즉위 1년 전 이시애의 난이 일으나고 남이, 유자광이 평정한다
남이는 난을 평정한 공으로 일등 공신이 되고 세조의 총애를 받아 공조판서가 된다. 세조가 죽자 한명회, 신숙주는 남이를 견제 하든 중 유자광이 남이가 역모를 꾀한다고 고변하여 의금부에서 문초를 받고 처형된다.
白頭山石磨刀盡 頭滿水飮馬無 男兒二十未平國 後世誰稱大丈夫
남이가 쓴 詩인데 유자광은 미평국을 미취국으로 고쳐 ‘나라를 취하지 못하면’으로 해석해서 역심을 가졌다고 고변 했다.
제9대 성종실록
제9대 성종(1457년~1494년)
재위기간: 1469년 11월~1494년 12월 25년 1개월)
부인 12명 자녀 16남 12녀
세조 장남 (덕종) 차남 자을산군(제9대 성종)
정희왕후 소혜왕후(인수대비)
공혜왕후 한씨(한명회의 딸)-후사없음
폐비 윤씨(1남 1녀)- 공혜왕후가 죽자 왕비 책봉
연산군(제10대)외 1녀
정현왕후 윤씨- 폐비 윤씨가 폐비 된 후 왕비 책봉
진성대군(제11대 중종)
세조의 비 정희왕후에 의해 예종이 죽은 다음 날 자을산군을 왕위에 올린다.
성종의 나이 13세이고 정희왕후가 섭정한다.
성종은 훈구파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사림파를 등용한다.
김종직의 발탁-김종직은 후에 조의제문 때문에 부관참시 당한다.
경국대전, 동국여지승람, 동국통감, 동문선, 악학궤범 등이 성종 때 쓰여졌다. 조선시대 최고의 태평성대가 이 때다.
제10대 연산군 일기
제10대 연산군(1476~1506년)
제위기간: 1494년 12월~1506년 9월 11년 9개월
성종 장남 제10대 연산군
폐비 윤씨 폐비 신씨-2남1녀
? -2남1녀
융(연산군의 이름)이 4살 때 폐비 윤씨 사사되어 융은 성종의 세 번째 비 정현왕후의 손에서 자란다. 연산군은 즉위 후 4년간은 국정을 잘 이끌어 간다.
무오사화-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문제 삼아 훈구파의 유자광, 이극돈이 주가 되어 사림파를 제거한다.
갑자사화- 임사홍이 폐비 윤씨 사건을 연산군에게 알려 폐비 사건에 가담한 훈구파를 제거한다. 이 후 연산군은 향락에 빠져 국고를 탕진하자 훈구파의 공신전을 회수 하려든 계획과 맞아 떨어졌다.
실록이 아니고 일기라 한 것은 군으로 강등 되었기 때문다.
2016.12.26 블로그에 올림
'책을 읽고나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15대~18대) (0) | 2016.12.26 |
---|---|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11대~14대) (0) | 2016.12.26 |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3대~6대) (0) | 2016.12.26 |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1대~2대) (0) | 2016.12.20 |
문화재속 숨어있는 역사 (0) | 2016.12.20 |